문재인 정부는 중소벤처기업부를 신설하며 스타트업 활성화에 공을 들였다. 기업가치가 10억 달러를 넘는 신생 기업인 유니콘 기업은 2017년 3개에서 2021년엔 역대 최대인 18개로 늘어났다. 스톡옵션으로 수많은 영앤리치가 탄생했다. 대기업에서 스타트업으로 이직했다는 뉴스는 뉴스도 아니었다. 제2의 벤처붐이었다. 사회 전반에 혁신 에너지가 가득한 시기였다. 그러나 이런 성과에도 불구하고, 스타트업 입장에서 당시 여당인 더불어민주당은 도저히 지지할 수 없는 ‘반(反) 스타트업’ 정당이었다. 그 중심에는 '을지키는민생실천위원회', 줄여서 을지로위원회가 있다. <br /> <br /> <br /> <br /> ━<br /> 을지로위원회, 점차 세상을 이분하고 ‘갑’을 적대시 <br /> 민주당 을지로위원회는 2013년 남양유업 본사의 가맹 대리점 갑질을 해결하면서 탄생했고 각종 불공정한 갑‧을 관계를 해결해 나갔다. 기업에서도 을지로위원회의 갈등 조정이 협상에 도움이 됐다고 말할 정도였다. 그러나 을지로위원회는 상법상 불공정한 갑‧을 계약 문제를 넘어, 세상을 기업인 ‘갑’과 노동자인 ‘을’로 이분하고 ‘갑’을 적대시하기 시작했다. 그 사례를 보자. <br /> 2020년 1월 민주당 을지로위원회는 한국중소상인자영업자총연합회, 전국가맹점주협의회, 참여연대, 민주노총 서비스연맹 등과 함께 배달의민족(우아한형제)과 요기요(딜리버리히어로)의 기업결합에 대해 독점이 우려된다며 공정위의 공정한 심사를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열었다. 국내 스타트업의 최대 규모 엑시트(Exit)를 여당이 반대한다는 비판이 일자, 을지로위원회는 반대가 아니라 공정한 심사를 촉구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나 이는 을지로위원회가 4월 총선을 코앞에 두고 반기업 표심에 구애한 것이...<br /><br />기사 원문 :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169704?cloc=dailymotion</a>